티스토리 뷰
목차
728x90
반응형
시동이 걸리지 않을 때, 아래 순서를 따르면 10분 내로 안전하게 응급 복구할 수 있습니다. 하이브리드/EV는 방식이 다르니 제조사 매뉴얼을 우선하세요.
사전 안전 체크
- 라이트·히터·오디오 등 전장품 모두 OFF
- 주차 브레이크 체결, 변속기 P(수동은 N)
- 배터리 균열·누액·심한 냄새 → 점프 금지 후 견인
- 영하권에서 배터리가 얼었다면 따뜻한 실내에서 서서히 해동(직사열 금지)
방법 A — 점프 케이블로 시동(가장 일반적)
연결 순서 | 설명 |
---|---|
① 빨강(+) 기증차 → 방전차 +단자 | 단자 부식은 브러시로 살짝 청소 |
② 검정(-) 기증차 → 방전차 차체 금속부 | 방전 배터리의 -단자 대신 차체(접지)로 스파크/가스 위험 감소 |
③ 기증차 1,500~2,000rpm 유지 1~2분 | 초기 충전 유도 |
④ 방전차 시동 시도 | 바로 안 걸리면 30초 후 재시도(3회 이내) |
⑤ 분리는 역순 | 차체(-) → 기증차(-) → 방전차(+) → 기증차(+) |
주의: +와 - 극성 혼동 금지, 퓨즈 박스의 점프 터미널이 있는 차는 그 위치를 사용. 스마트 키 차량은 배터리 전압이 낮아도 도어락이 안 풀릴 수 있으므로, 물리 키 사용.
방법 B — 휴대용 점프스타터로 시동
- 점프스타터 전압/용량(피크 전류) 차량 규격 확인
- 전원 OFF 후 빨강(+) → +, 검정(-) → 차체 금속
- 점프스타터 전원 ON → 시동
- 시동 후 장비를 OFF하고 역순으로 분리
방법 C — 수동변속기 푸시스타트(비상용)
- 안전 확보(평지·직선), 보조 인원 1~2명
- 기어 2단, 클러치 밟고 시동 ON
- 밀어 10~15km/h 도달 → 클러치 짧게 연결
- 시동 걸리면 즉시 클러치 재밟고 가속 안정화
※ 촉매/미션 보호를 위해 반복 사용 금지, 오토/듀얼클러치/하이브리드 차량은 사용 불가.
응급처치 후 반드시 할 일(재발 방지 루틴)
- 20~30분 연속 주행으로 충전(공회전만으로는 부족)
- 전압 체크: 시동 OFF 기준 12.6V 내외, 12.4V 이하면 충전 또는 교체 고려
- 단자 부식 제거 후 윤활/방청제 도포, 접지선 조임 확인
- 3년 이상 사용, 겨울 아침 재시동이 늦음, 최근 반복 방전 이력 → 교체 권장
바로 정비소로 가야 하는 징후
- 계기판 전압 급락·경고 메시지 반복
- 발전기(알터네이터) 충전 경고등 점등, 주행 중 라이트 밝기 요동
- 배터리 팽창/누액/유황 냄새
자주 하는 실수 TOP 5
- 방전 직후 짧은 거리를 여러 번 이동(충전 부족 → 재방전)
- 겨울에 히터·열선·블로워 켜둔 채 점프 시도
- 방전차 -단자에 검정 집게 직접 연결(스파크·가스 위험 ↑)
- 영하권에서 얼어있는 배터리를 즉시 점프(폭발·케이스 파손 위험)
- 알터네이터 불량을 배터리 문제로 오진
퀵 체크표
증상 | 가능 원인 | 현장 대처 |
---|---|---|
딸깍 소리만 남 | 배터리 심방전/단자 풀림 | 점프 후 단자 조임 확인 |
주행 중 전장 꺼짐 | 알터네이터/벨트 문제 | 전장 최소화 후 정비소 직행 |
재방전 반복 | 노후·기생전류 | 암전류 테스트·교체 검토 |
한 줄 요약: 안전확보 → 올바른 연결 순서로 점프 → 20~30분 주행 충전 → 전압·단자 점검 → 재발 시 알터네이터/배터리 상태 진단 및 교체.
728x90
반응형